News
작성자 : (주)케이렘
등록일 : 2013.09.17조회수 6956
고부가 창출 제주바람 미래성장자원으로 활용해야
[탄소없는 섬 제주 세계적 녹색산업 메카로]
2부 제주형 녹색산업 발전모델 찾아라
1. 바람은 돈, 풍력발전산업
2부 제주형 녹색산업 발전모델 찾아라
1. 바람은 돈, 풍력발전산업
▲ 한경면 신창리 제주한경풍력발전단지 전경.
풍력 산업 빠르게 성장…육상 이어 해상 진출
공공성확보 지역경제 기여 강화, 인재양성 시급
제주와 바람은 뗄래야 떼어낼 수 없다. 초가와 돌담 등의 생활공간을 비롯해 거칠고 짧은 제주어의 억양은 바람에 의해서 만들진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제주의 강한바람은 도민들에게 고통과 피해를 입히기도 했지만 현재는 고부가가치를 지닌 에너지자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제주가 풍력발전산업을 기반으로 에너지자립은 물론 우리나라 녹색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기회를 살려야 한다.
△ 제주 우리나라 풍력발전 시초
우리나라 풍력발전단지 산업발전의 시초는 1998년 8월 구좌읍 행원리에 660㎾급 풍력발전기 2기가 설치되면서 부터이다. 이후 행원풍력발전단지는 660㎾급 6기, 750㎾급 5기, 2㎿급 1기, 1.5㎿급 1기 등이 추가로 조성되면서 우리나라 풍력발전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제주지역 풍력발전산업은 빠르게 성장해 현재 구좌읍 행원·월정·김녕, 한경면 신창·용수·용당, 한림읍 월령, 성산읍 성산·수산·삼달 등 11곳에 63기의 풍력발전기가 설치됐다. 제주지역 풍력발전의 총용량은 109㎿로 전체 발전량의 5.4%를 차지하고 있다.
정부가 신재생에너지산업 개발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갖고 있고,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와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에 힘입어 대기업들이 잇따라 제주에서 풍력발전산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SK D&D와 김녕풍력발전㈜, 한국중부발전㈜, ㈜한화건설, ㈜두산중공업, ㈜대경 등의 대기업은 제주지역 6개 지구에 전체 143㎿ 규모의 육상풍력단지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제주에너지공사도 구좌읍 동복리에 위치한 폐기물매립장과 채석장 주변에 30㎿의 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2030년까지 전력부분을 신재생에너지로 100%대체하는 카본프리아일랜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육상 300㎿과 해상 2GW급의 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이다.
△ 양질 바람자원 잠재력 풍부
제주풍력발전산업의 강점은 양질의 풍력자원이 풍부해 국내 경쟁지역인 서남해보다 수익성이 높다는 것이다.
풍력터빈은 주로 초속 3~4m이하이면 운전할 수 없고, 반대로 25m이상이면 안전문제상 정지시킬 수밖에 없어 경제성 기준은 6m로 분석된다.
제주에 조성된 풍력발전단지의 평균 풍속은 초속 7~9m로 풍력터빈을 운전시키는데 좋은 조건을 지니고 있고, 연평균 가동률도 25%로 경제성을 갖추고 있다.
특히 4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제주도는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위한 최적의 입지·환경적 요건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제주지역은 풍력발전을 도입한지 2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많은 한계를 안고 있고, 극복해야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현재 풍력발전 관련 사업기반과 인력·기술이 매우 취약하고, 특히 해상풍력발전은 더욱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풍력발전기 1기당 20억~30억원에 달하는 등 초기에 막대한 자본이 필요해 대기업이 아닌 제주중소기업이나 지역자본의 참여가 어렵다.
풍력발전 난개발시 각종 환경피해와 한라산·오름과 제주해안 등의 자연경관이 훼손될 우려가 높다.
△ 과감한 지원 한계와 단점 극복해야
제주도는 풍력자원의 난개발을 방지하고, 지역주민의 공감대 조성 등을 위해 6개의 육상풍력발전지구를 지정했다. 하지만 지구지정 과정에서 대기업 특혜 문제 등으로 갈등과 마찰을 빚고 있다.
이로 인해 '바람자원=공공자원'을 제주풍력발전산업계획의 기본방향으로 설정해 공공성을 강화하고, 개발권과 허가권 제한으로 제주자본의 참여방안을 확대시키는 등 수정·보완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2GW급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에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해 자원이 풍부하고 경제성이 높은 장점을 최대한 살려야 한다.
다른 지역의 경우 해상풍력단지를 육지에서 20~30㎞이상 떨어진 곳에 조성하는 것과 달리 제주지역은 1㎞내에서도 조성이 가능, 비용절감 및 위험성 등을 줄일 수 있어 자본유치에도 잇점이 있다.
현재 걸음마 단계에 있는 해상풍력산업이 최대한 빨리 실용화될 수 있도록 정부의 과감한 지원을 이끌어내야 한다. 또 어민피해 최소화 및 보상을 위해 가두리 양식시설 활용방안 등을 다각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풍력발전설비에 대한 인증 및 표준화 관련 연구, 성능평가 및 진단 등을 총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풍력발전 R&D(연구개발)센터도 도입해야 한다.
특히 제주 육·해상풍력발전사업이 제주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풍력단지의 지역주민에 대한 혜택·지원을 확대시키고, 풍력발전단지의 유지·보수·수리·관리 등을 제주기업에 맡기는 방안을 강구해야한다.
또한 정부와 제주도, 참여기업, 연구기관 그리고 제주대학교 등 도내 대학교와 협의체를 구성해 풍력발전산업과 관련한 전문인재양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
글·사진=김용현 기자
"경관보호 지역주민 상생 전제돼야" |
인터뷰 / 허종철 제주대학교 교수
"제주풍력발전산업을 제대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공공성과 자연·경관보호, 지역주민 상생이 반드시 전제돼야 합니다" 허종철 제주대학교 풍력특성화대학원 인력양성사업단장(기계시스템공학부 교수)은 "제주의 바람은 연평균 초속이 8.4m으로 풍력터빈을 가동시킬 수 있는 최적의 지역"이라며 "현재 대기업들이 RPS제도와 맞물려 제주지역 풍력발전단지를 잇따라 조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 교수는 "제주에 무차별적으로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한다면 5GW이상도 가능하지만 육상의 경우 환경피해와 경관훼손 등의 우려로 개발가능지역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해상 역시 해양경관과 바람여건, 그리고 어장피해 등을 고려해 입지를 압축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제주지역에서 가능한 육·해상풍력발전 총용량은 2.3GW로 연구됐고, 총용량 범위내에서 최대한 풍력발전산업을 육성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 교수는 "막대한 자본이 필요한 풍력산업 특성상 참여가능 기업이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제주바람이 공공자원인 만큼 민간기업이 투자하더라도 공공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허 교수는 "풍력발전단지 인근 주민들이 피해와 불편이 없도록 지원과 혜택을 과감히 확대해야 한다"며 "풍력발전단지와 관련한 수리·유지·보수·관리 등을 제주기업이 맡을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이를 위해서는 우선 풍력발전기와 시스템의 국산화가 필요하고, 도내기업도 충분한 전문성과 기술력 등을 갖춰야 한다"며 "제주대를 비롯한 도내 학교에서 풍력발전 전문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체계도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허 교수는 "제주지역은 다양한 형태의 바람이 불어 풍력발전설비의 인증·검증·표준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며 "제주에 반드시 풍력발전연구센터가 설립돼 국내서 생산된 모든 풍력발전제품에 대한 품질실험과 표준화 인증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현 기자 |
[출처-제민일보 http://www.jemin.com]
[김용현 기자 noltang@jemin.com]